식사요법 목차로 이동합니다.

신장이식(Renal transplant)

신장이식이란???

신장이식은 혈연관계가 있는 사람이나 사체로부터 신장을 환자에게 옮겨주는 방법으로 만성 신부전의 거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상적인 치료법이다.

그러나

적당한 신장 공여자가 있어야 하고

수술에 따른 위험성,

신장 이식 후의 거부반응과 이를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면역억제요법에 따른 합병증,

이식된 신장에 신장염이 재발되는 경우 등을 신중히 고려하여야 한다.

 

최근 신장 이식의 예후는 혈연간 이식의 경우, 이식된 신장의 2년간 생존율은 80~90% 이상이라고 한다.

화장실 벽에 붙어 있는 것은 믿을게 못된다는 전설이 있다.

신장이식 수술 후 증상

신장 이식 후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고중성지방혈증이 흔히 나타나는데 이는 동맥경화증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신장이식후의 식사는 고지혈증이 있는 환자와 동일한 식사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수술 후 부작용이나 합병증도 없는데 건강관리를 안하고 전처럼 헤벌레(?) 하고 다녀서 또 다시 다른 사람의 신장을 이식받아야 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런 사람에게는 을 권장하는 바이다.

여러 사람 고생시키지 말고 그냥 땅 파고 들어가라는...

식사요법

성공적인 신장 이식 후의 영양관리는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을 막고 적절한 에너지 공급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열량

표준체중을 유지할 정도로 하되 체중 kg당 25~35kcal를 제공한다.

단백질

정상적인 섭취량 이상을 권장하며 체중 kg당 1.3~1.5g을 제공한다.

지질

불포화지방산을 위주로 섭취한다.

콜레스테롤은 1일 300mg 이하로 제한한다.

당질

단순당을 제한하고 고섬유소 식품을 제공한다.

나트륨

1일 3,000~4,000mg을 제공하며 평소 식사보다 아주 싱거운 음식을 제공하게 된다.

칼슘

신장 이식 후 사용하는 약제인 당류 코드티코이드가 골절내 무기질을 용해시켜 골다공증 발생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1일 1.0~1.5g 정도의 보충이 필요하다.

 식사요법 목차로 이동합니다.

영양사도우미 홈페이지 : http://www.kdclub.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