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사요법 목차로 이동합니다.

급성췌장염

급성 췌장염은 평상시에는 불활성의 전구체로 존재하고 있는 췌장효소 전구체가 돌연 활성화되고 췌장의 자가소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발증한다.

 

원   인

▷ 가장 중요한 원인은 담석알콜이다.

▷ 담관과 췌관이 만나 십이지장으로 내려오는데 그 부위에 담석이 걸리면

    췌액이 흐르지 못해 역류하여 췌장염이 생긴다.

▷ 또 술을 과도하게 마시면 췌관의 압력이 증가하거나 췌액의 성분이 변해 췌장염이 생긴다.

▷ 그외 고지혈증, 당뇨병, 약물,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의해서도 발병할 수 있다.

증  상

▷ 상복부와 배꼽주변이 아프고 격렬한 통증이 지속적으로 1~3일간 발생한다.

▷ 발열, 오심, 구토, 냉한, 안면창백, 맥박의 증가를 가져온다.

▷ 급성의 경우 약 20%정도가 심한 복통과 함께

    호흡곤란, 쇼크, 신부전 등이 나타나며 이 경우 사망률이 30%나 된다.

▷ 일반적으로 소화관 운동의 저하로 인한 가스의 저류가 보인다.

▷ 혈중, 뇨중 amylase가 높으므로 진단에 이용된다.

▷ 대부분 정상으로 회복되나 감염, 출혈, 물혹 등의 합병증이 생겨 고생하기도 한다.

치료 및 식사요법

▷ 췌액의 분비를 억제하는 목적으로 급성기에는 엄중한 절식을 하여 췌장을 쉬게 해야 하며

    장기적으로 절식이 필요할 때는 중심정맥 영양법을 이용한다.

▷ 염증이 없어지고 회복기에 들어서면 유동식연식 일반식으로 이행하는 것이 좋다.

▷ 지질과 단백질을 소화시키는 효소는 주로 췌액에 함유되어 있어서

    이들을 포함하는 식품은 췌액분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식사는 지질과 단백질은 극히 제한하고 당질 중심의 식사로 하는 것이 좋다.

▷ 증상이 회복되면 지질을 1일에 10~20g으로 제한하고 단백질의 섭취량을 늘린다.

    좋은 급원으로는 탈지유, 난백, 흰살생선, 두부 등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 오랫동안 지질섭취량이 감소하면 영양상태가 약화되므로 중쇄지방산(MCT)을 사용해야한다.

▷ 알콜을 제한하고 ( 술 끊어라 ! ) 위액분비 항진을 막아야 하며

    특히 지용성 비타민 부족에 주의를 해야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규칙적인 식생활이다.

 

 식사요법 목차로 이동합니다.

영양사도우미 홈페이지 : http://www.kdclub.com/